IRP(개인형 퇴직연금) 통장은 퇴직금 수령, 노후 대비, 세액 공제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해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IRP 통장을 해지하는 방법과 유의사항을 아래에서 안내드립니다.
1. IRP 통장 해지 전 유의사항
- 세액 공제 받은 금액의 추가 세금 발생
- 세액 공제를 받은 금액을 중도 해지하면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 해당 세금은 세액 공제를 받은 연간 납입 금액(최대 700만 원)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퇴직금 관련 제한
- IRP 계좌에서 퇴직금을 보관 중이라면, 이를 해지하면 퇴직금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거나 지급받아야 합니다.
- 해지 시 납입 원금 및 운용 손익 확인
- 해지 시점에서 원금 손실이 있을 수 있으므로, 계좌 내 잔액 및 운용 상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 연금 수령 혜택 포기
- IRP는 만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 시 절세 혜택이 있으므로, 해지 전에 연금 수령 여부를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IRP 통장 해지 방법
① 은행 방문을 통한 해지
- 가까운 국민은행 지점 방문: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을 준비합니다.
- IRP 해지 요청:
- 은행 창구에서 IRP 해지를 요청합니다.
- 해지 사유와 계좌 내 잔액, 세금 부과 여부를 확인받습니다.
- 서류 작성 및 해지 완료:
- 필요 서류를 작성 후, 계좌 잔액을 지급받거나 다른 계좌로 이체.
② 인터넷/모바일 뱅킹 해지
- KB국민은행 스타뱅킹 앱 실행:
- 국민은행 인터넷 뱅킹 계정을 이용합니다.
- 메뉴에서 IRP 해지 선택:
- 퇴직연금 > IRP 관리 > 계좌 해지 메뉴를 찾습니다.
- 본인 인증 및 해지 진행:
- 본인 인증 후 해지 절차를 따라 진행.
- 잔액 확인 및 처리:
- 해지 후 잔액이 본인 지정 계좌로 입금됩니다.
③ 고객센터를 통한 문의
- KB국민은행 고객센터: ☎ 1588-9999
- 고객센터 상담원을 통해 IRP 해지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3. 중도 해지 세금 계산 예시
세액 공제 반환 세금 계산
- 납입 금액: 300만 원 (세액 공제 받음)
- 기타소득세: 16.5%
- 300만 원 × 16.5% = 49만 5,000원
- 해지 시 49만 5,000원이 세금으로 차감됩니다.
4. 해지 후 대안
- 다른 연금 상품 검토:
- 해지 대신 연금저축펀드, 연금보험 등 대체 상품을 검토해 보세요.
- 연금 수령으로 전환: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세액 공제 반환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FAQ
Q1. IRP 통장을 해지하면 세금은 얼마나 나오나요?
A1. 세액 공제를 받은 금액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납입 원금과 운용 손익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Q2. 온라인에서 IRP 통장 해지가 안 되는 이유는?
A2. 퇴직금 보관, 미청산 투자 상품 등 해지 전 처리해야 할 내용이 남아 있는 경우 온라인 해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Q3. IRP 통장을 부분 해지할 수 있나요?
A3. IRP는 계좌 전체 해지만 가능하며, 부분 해지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6. 결론
IRP 통장 해지는 세금 부담과 절세 혜택 포기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은행 방문, 모바일 앱, 고객센터를 통해 해지가 가능합니다.
- 해지 전 세금 계산과 운용 상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필요 시 국민은행 상담원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절차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