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글 2024에서 ‘한글(한자)’ → ‘한자’만 남기는 방법. 정규식 바꾸기 기능으로 쉽고 빠르게 처리하세요!

by ◼◾ 2025. 4. 6.

문서를 작업하다 보면 ‘한글(한자)’ 형태로 병기된 문장이 종종 등장하죠. 예를 들면:

자연(自然) 보호(保護)의 중요성(重要性)을 되새기며...

 

그런데 이걸 최종 제출용 문서로 만들거나 디자인 정리를 할 때, 한자만 남기고 한글 및 괄호는 제거하고 싶어질 때가 있습니다. 일일이 하나하나 지우기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수도 생기기 쉬워요. 오늘은 한글 2024에서 '정규식' 기능을 활용해 일괄 처리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 바꾸기 기능으로 한자만 남기기

예시 문장

자연(自然) 보호(保護)의 중요성(重要性)을 되새기며, 산림(山林) 자원(資源)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의미(意味)를 지니고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

自然 保護의 重要性을 되새기며, 山林 資源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意味를 지니고 있습니다.

📌 따라하기: 정규식 바꾸기 단계

1단계: 찾아 바꾸기 실행

  • 메뉴 상단 → [편집] → [찾아 바꾸기]
  • 또는 단축키 Ctrl + H

2단계: 정규식 옵션 켜기

  • ‘찾을 내용’ 오른쪽의 [옵션] 버튼 클릭
  • 아래쪽에 있는 [정규식] 체크박스 선택

3단계: 정규식 입력

  • 찾을 내용:
  • [가-힣]+\(([一-龥]+)\)
  • 바꿀 내용:
  • \1

✅ 여기서 \1은 괄호 안의 한자만 남기는 의미입니다.


✔️ 적용 결과

입력했던 ‘자연(自然)’ → '自然'
‘보호(保護)’ → '保護'
이런 식으로 한자만 남고, 앞의 한글과 괄호는 자동 삭제됩니다.

📌 [모두 바꾸기] 버튼을 눌러 한 번에 처리해보세요!


⚠️ 주의할 점

주의사항 설명
파일 백업 작업 전 원본 파일 복사해두기 추천
괄호 구조 괄호 안에 한자 외 다른 문자가 있으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음
공백 조정 바꾸기 후 필요 시 띄어쓰기 재조정 필요

🧠 한글에서 정규식이란?

정규식은 특정한 문자 패턴을 찾아주는 기능이에요.
한글에서도 이 정규식을 활용해 복잡한 문장 편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 [가-힣]+ = 한글 단어 전체
([一-龥]+) = 한자 범위(일본어, 중국어 포함)


✨ 마무리

정리하자면,
한글 2024에서 ‘한글(한자)’ 구조의 문장에서 한자만 남기고 싶다면
정규식 바꾸기 기능을 활용하세요!

[가-힣]+\(([一-龥]+)\)  →  \1

이 한 줄이면 수십, 수백 개의 단어도 한 번에 정리됩니다. 문서 편집 시간을 절약하고, 깔끔한 결과물도 얻을 수 있어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