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스코드 게임 활동 표시 없애는 방법!

by ◼◾ 2025. 3. 5.
반응형

디스코드에서 게임을 실행하면 '○○ 게임 중'이라고 뜨는 기능을 없애고 싶으신가요? 이미 "감지된 활동을 다른 사람과 공유" 옵션을 껐음에도 표시가 계속 뜨는 문제를 겪고 계시군요. 오늘은 디스코드에서 게임 활동 표시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 게임 활동이 표시되는 이유는?

디스코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게임 포함)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태 메시지로 표시합니다.
활동 공유 설정을 껐어도 게임이 표시된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 1️⃣ 디스코드 '활동 상태' 기능이 활성화됨

  • '감지된 활동을 공유' 설정을 껐어도, 활동 상태 표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계속 보일 수 있습니다.

📌 2️⃣ 특정 게임이 수동으로 등록되어 있음

  • 디스코드에서 게임을 직접 등록한 경우, 자동 감지 설정을 꺼도 여전히 표시될 수 있습니다.

📌 3️⃣ 상태 메시지가 '온라인' 또는 '보이지 않음'이 아닌 경우

  • 상태를 '온라인'으로 설정하면 활동 상태가 더 쉽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 '보이지 않음'으로 설정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활동이 보이지 않습니다.

📌 4️⃣ 디스코드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 (재시작 필요)

  • 설정을 변경했음에도 게임 활동이 보인다면 디스코드를 완전히 종료 후 다시 실행해야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게임 활동 표시 완전히 없애는 방법!

✔️ 1. '현재 활동 표시' 기능 끄기 (활동 상태 숨기기)

이 기능을 끄면 게임 활동이 더 이상 표시되지 않습니다.

1️⃣ 디스코드 실행 후 '설정(⚙️)' 아이콘 클릭 (화면 왼쪽 아래)
2️⃣ '개인 정보 및 보안' 탭으로 이동
3️⃣ '현재 활동을 상태 메시지로 표시' 옵션을 OFF(비활성화)
4️⃣ 디스코드를 완전히 종료 후 다시 실행하여 적용 확인

📌 이 설정을 끄면, 디스코드에서 자동으로 감지한 게임이 상태 메시지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 2. 디스코드에서 감지된 게임 삭제하기

디스코드에서 특정 게임이 감지되어 추가된 경우, 직접 삭제해야 합니다.

1️⃣ '설정(⚙️)' → '등록된 게임' 메뉴로 이동
2️⃣ 목록에서 표시되는 게임을 찾기
3️⃣ 해당 게임 옆의 'X' 버튼 클릭하여 제거
4️⃣ 디스코드를 완전히 종료 후 다시 실행하여 적용 확인

📌 목록에서 삭제하면, 디스코드가 해당 게임을 다시 감지하지 않습니다.


✔️ 3. 상태를 '보이지 않음'으로 설정하기

디스코드에서 '보이지 않음'으로 설정하면, 다른 사람에게 활동이 보이지 않습니다.

1️⃣ 디스코드 실행 후 프로필 아이콘 클릭
2️⃣ 상태 변경 메뉴에서 '보이지 않음' 선택
3️⃣ 활동이 표시되지 않는지 확인

📌 이 방법을 사용하면, 게임 활동뿐만 아니라 온라인 상태 자체도 숨길 수 있습니다.


✔️ 4. 디스코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종료 후 재시작

설정을 변경했음에도 게임 활동이 계속 표시된다면, 디스코드를 완전히 종료 후 다시 실행하세요.

1️⃣ 디스코드 종료 (작업 표시줄에서 오른쪽 클릭 후 '닫기')
2️⃣ 작업 관리자 (Ctrl + Shift + Esc) 실행
3️⃣ '디스코드(Discord)' 프로세스를 찾아 종료
4️⃣ 디스코드를 다시 실행하고 게임 활동이 표시되는지 확인

📌 백그라운드에서 디스코드가 실행 중이면, 설정이 즉시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결론: 디스코드 게임 활동 표시 없애는 방법 요약

'현재 활동을 상태 메시지로 표시' 설정 OFF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디스코드에서 감지된 게임 직접 삭제 (설정 → 등록된 게임 → 목록에서 제거)
상태를 '보이지 않음'으로 설정 (프로필 아이콘 클릭 → '보이지 않음' 선택)
디스코드를 완전히 종료 후 다시 실행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종료)

📌 위 방법을 적용하면, 더 이상 디스코드에서 게임 활동이 표시되지 않을 거예요! 😊

반응형

댓글